728x90
『청년이 없는 나라』 (저자: 김태유, 출판사: 어티피컬, 2025)
📌 1. 문제 진단
- 한국은 2005년 이후 약 380조 원을 투입했지만 여전히 세계 최저 수준인 2022년 합계출산율 0.78명에 머무르고 있음
- 인구 구조가 피라미드형에서 역피라미드형으로 급변, 청년은 줄고 고령층은 증가하면서 **부양비(생산가능인구 100명당 고령인구 수)**가 급등해 국가 지속가능성이 위협받고 있음
🔍 2. 핵심 원인 분석
- 부양비 증가가 출산율 저하의 근본 원인. 고령층 부양 부담이 높아지니 청년이 자녀를 낳을 수 없는 구조적 문제임
- 사회 전반의 살인적 경쟁, 수도권 과밀화 → 연애·결혼·출산 포기로 이어짐
🛠 3. 해결 전략
① “부양비 개선”을 목표로 정책 전환
- 단순한 출산 장려가 아니라 **‘부양비 감소’**로 정책 중심 전환을 주장
② ‘이모작 사회’ 구조 제안
- 인생을 두 시기로 나눠,
- 1기(25~54세): 과학·제조업 등 활발한 활동,
- 2기(55~77세): 행정·서비스·교육 등 경험 중심 업무로 전환.
- 이렇게 하면 고령층도 생산 가능 인구로 편입돼 청년의 부양 부담 감소
③ 수도권 일극의 해소와 지역 메가시티 육성
- 수도권에 집중된 경쟁과 자원 분배를 완화하기 위해 부울경(부산·울산·경남) 지역을 ‘제2의 메가시티’로 조성할 것 제안
- 부울경은 북극항로 연결 항만 지역으로 전략적 잠재력이 있음
🧭 4. 철학과 시사점
- 청년을 단순한 ‘출산책임자’로 몰지 않고, **“오늘보다 나은 내일이 없다”며 출산을 포기하는 것도 ‘책임감’**의 다른 면이라고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
- 한국형 초저출산은 0.7의 출산율 숫자뿐 아니라 구조적 붕괴의 지표로 보아야 하며, 해외 정책 모방으로는 문제 해결에 한계가 있음
김태유 교수는 출산율 저하의 근본 원인을 청년 인구 감소와 고령층 부담 증가라는 구조적 문제에서 찾으며, 이를 해결하려면 세대 간 노동 분업(이모작), 지역 균형 발전, 부양비 완화 정책으로의 사고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단순한 돈이나 장려 정책뿐 아니라, 세대와 지역이 함께 살아가는 지속 가능한 사회 시스템 구축이 핵심이라는 점이 이 책의 핵심 메시지입니다.
저도 어느덧 40대 중반을 넘어가며,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는데 이렇게 정리를 해주시니까 너무 공감되며, 꼭 읽어봐야겠습니다. 100세 시대를 준비하며, 지금 하고 있는 일에서 후배들에게 슬슬 자리를 내줘야 할거 같다는 생각이 들며, 새로운일을 항상 고민하며 도전 중 입니다. 제 글을 읽어주시는 분들 모두 성장하시고, 도전하셨으면 좋겠습니다. 화이팅
728x90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 안전자산 격돌 - 미국채 vs 국채: 투자 핵심 완벽 분석 (3) | 2025.07.01 |
---|---|
카카오뱅크 26주 적금으로 목돈 모으기, 이렇게 활용하세요 (14) | 2025.07.01 |
스테이블 코인에 대해서 (9) | 2025.06.28 |
Explain the American perspective on Bitcoin and cryptocurrencies (6) | 2025.06.24 |
빗썸 자동 매매 (7) | 2025.06.24 |